전체 글 33

[CRM] 럭셔리도 CRM이 필요한가요

2023년에 발간된 아티팩트의 '럭셔리를 위한 데이터(미국의 사례)' 리포트 일부를 들고 왔다.보통 신규 고객 창출에 집중하다가 기존 고객과의 관계 관리를 신경 쓰는 일반 비즈니스와 달리, 럭셔리는 반대로 신규 충성 고객 창출을 위해 CRM을 사용하고 있다.알맞은 고객을 식별하라 럭셔리의 세계에서는 상위 2%의 VIP가 전체 매출의 약 40%를 일으킵니다. 이들(High-volume buyers)이 바로 그동안 업계가 의존한 핵심 고객층입니다. 반대로, 잠재 VIP 고객일 수 있는 첫구매 고객 대다수는 그들의 인생에 걸쳐 단 한두 번 소비하는 것에 그치고 맙니다. 따라서 럭셔리 기업들은 취해야하는 CRM 전략은 두 가지입니다. 먼저 1) 기존 VIP 고객의 로열티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 그리고 2)..

[SFDC] 현장에서의 CRM시스템 프로젝트 짤막 느낀점

지난 한 달 간 몇 곳의 회사와 거취를 논하다 이번에는 외국계 기업의 인하우스 project coordinator로 안착하게 되었다. 다른 회사들보다 가장 프로세스도 빠르고 확실하게 당겨준 덕분에 결정하기도 쉬웠다. 첫 번째 프로젝트에서는 PMO를 하며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골조를 배웠고, 두 번째 프로젝트에서는 BA를 해보면서 고객의 요구사항을 프로세스 문서로 구체화하고 그게 개발로 이어지는 과정을 경험했다. 이번에는 인하우스이니 오너십을 가져보는 경험을 할 수 있을 것 같아 기대가 된다. 세 번쯤 거치고나니 기업들이 CRM시스템에 기대하는 바에 어느 정도 공통점이 있다는 걸 본다.전사 ROI 대시보드끊김 없는 고객 경험 두 가지 모두 데이터를 구슬처럼 꿰매어야 가능하다. 1번의 경우 마케팅 리..

[SFDC] Module lead 포지션 제안 받았습니다

제 작은 공간에 자축글을 올립니다. 이전 프로젝트에서는 주로 서포트 역할을 수행하면서 조금씩 고객 대면 미팅이나 산출물 작성에 참여하였습니다. 이번에는 프로젝트 처음부터 끝까지 모듈 하나를 담당하는 포지션을 제안 받았습니다. 아직 세부사항이 확정되진 않았지만, 역량을 인정 받았다는 점이 기쁘고, 새로운 기회에 설렙니다. 감사합니다.

[Marketing Cloud] 마케팅 저니 설계의 시작점

나는 lead 모듈에 속하여 주로 sales팀과 소통하고 core 제품만 다뤘지만, 결국 marketing 모듈과 협업해야 하는 순간이 있다. marketing 모듈의 역할이 sales팀보다 먼저 고객과의 접점에서 marketing lead를 창출하는 데 있기도 하고, 기술적으로도 sales lead에 어떤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하는지 설계하려면 marketing lead의 데이터부터 살펴봐야하기 때문이다. 마케팅 저니 설계를 하려면,1) 마케팅 목적 & 예상결과2) 타게팅의 로직3) 데이터의 원천4) 마케팅 메세지 관련 assets(이미지, 문구) 을 확보해야 한다.비즈니스적 중요도면에서도 그렇고 정확한 설계를 위한다면 1>2>3=4 순으로 중요하다.하지만 실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면 오히려 3), 4)..

[SFDC] 2025 Mar 월간회고_회의록 작성, 데이터 필드 맵핑

프로젝트 기간 동안 미리미리 주간회고 월간회고 썼더라면 더 좋았을텐데, 이제야 글을 쓴다.사실 그전에는 일 돌아가는 상황 파악이 안되다보니 글을 쓸래도 도무지 입이 떨어지질 않았다. 두 번째 프로젝트인데도 그랬다.한 달을 보낼 때마다 매번 ‘아 이제 조금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겠다’고 생각한다는 게 웃기다.Updates1. 2월부터 프랑스 프로젝트에 배치2. 마이그레이션 데이터 맵핑3. 비즈니스 프로세스 맵 작성4. 개발티켓 설계5. 유저 매뉴얼 작성6. SIT 시나리오 작성그외 인사이트1. 금융IT프로젝트와 솔루션 구축 프로젝트의 차이하나씩 풀어보겠다.1. 프랑스 프로젝트 투입_문서작성 2월 중순부터 원래 담당했던 독일 프로젝트에서 프랑스쪽으로 새롭게 팀 배치가 되었다. 현업들과 간단히 메일로 인사를 ..

[SFDC] Salesforce 해외 법인 Rollout시 다국어 설정의 문제

현재 여러 유럽 법인에 CRM시스템을 동시 Rollout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다 사소하지만 꼭 구조를 잡고 넘어가야 하는 다국어 설정의 문제를 발견했다. 일반적인 IT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의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요구사항 분석 - 기능 설계 및 개발 - 인터페이스 개발 - 마이그레이션 - 테스트 - 컷오버 - 오픈 - 안정화어떤 회사가 한 번도 컴퓨터를 활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을 도입한 적이 없는 흰 도화지라면, 기능 개발만 제대로 해도 괜찮을 것이다. 하지만 보통 회사들은 이미 ERP를 비롯하여 다양한 마케팅 솔루션을 활용하고 있거나 자체적으로 웹 개발을 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개인 컴퓨터에 엑셀 등으로 고객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따라서 이전에 사용하고 있던 웹페이지/솔루션 관리 ..